디자인몽
무료 정보 및 자료 총집합, FREE114.NET

FREE114

login
크립토코인 정보

본문

국제통화기금(IMF)가 비트코인(BTC) ‘디지털 금’ 인정했다?… “사실과 달라”


국제통화기금(IMF)이 비트코인(BTC)을 ‘디지털 금’으로 공식 인정했다는 주장이 온라인에서 확산됐지만, 이는 보고서 해석에 대한 과장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최근 X(옛 트위터)를 중심으로 일부 인플루언서들이 “IMF가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으로 선언했다”, “IMF가 비트코인을 글로벌 자산 추적 시스템에 포함했다”는 등의 주장을 공유했다. 비트코인 옹호자로 알려진 맥스 카이저(Max Keiser)도 “IMF가 비트코인을 사실상 디지털 금으로 인정했고, 향후 특별인출권(SDR) 바스켓에 포함할 것”이라는 주장을 덧붙였다.


하지만 실제로는 IMF가 최근 공개한 1076쪽 분량의 국제수지통계편람 7판(BPM7)에 포함된 문구 일부가 과도하게 해석됐다는 것이 전문가 의견이다.


데니스 포터(Dennis Porter) 사토시액트펀드(Satoshi Act Fund) 대표는 “보고서에 ‘지급수단 또는 가치 저장 수단으로 설계된 디지털 자산’이라는 표현이 있긴 하지만, 이를 두고 IMF가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으로 선언했다고 보는 것은 지나친 해석”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서는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를 △책임 주체가 없는 암호자산 △교환 매개 수단으로 설계된 경우 △자본계정의 비생산·비금융자산으로 분류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부동산이나 원자재처럼 취급한다는 의미로, 금이나 법정통화처럼 공식 자산으로 인정한다는 뜻은 아니다.


비트코인은 보고서 전반에서 총 5회 언급되며, 스테이블코인이나 NFT와 함께 예시로 활용되는 수준에 그쳤다. 일부 문구에서는 “하나의 비트코인은 다른 비트코인과 동일하고, 동일한 단위로 나눌 수 있다”며 대체 가능성(fungibility)을 강조했다.


IMF는 새로운 디지털 자산이 △지급 수단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했지만, 비트코인을 IMF 보유 자산이나 SDR 바스켓에 포함하겠다는 언급은 없다. 오히려 국경 간 암호화폐 흐름을 더 정확히 분류·기록할 필요성이 강조됐다는 분석이다.


출처: 블록미디어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검색

전체 8,563 건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최근글
Statistical Chart
  • 오늘 방문자 2,547 명
  • 어제 방문자 6,841 명
  • 최대 방문자 11,118 명
  • 전체 방문자 2,089,093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