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몽
무료 정보 및 자료 총집합, FREE114.NET

FREE114

login
크립토코인 정보

본문

미국 경제의 역설… “리세션을 기다리며”


[블록미디어 이제인 기자]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왜 경기 침체가 오지 않나’라는 분석 기사를 통해 “고용과 소비 증가로 경제 확장은 계속되고 있지만, 안심할 단계가 아니다”는 진단을 내놨다.

다음은 기사 요약


경기 침체를 예상했던 경영자, 경제학자, 투자자들의 예측이 빗나갔다. 고용이 꾸준히 증가하며 소비를 촉진시키고, 이로 인해 미국 경제는 여전히 확장되고 있다.


지난 12개월 동안 기업들은 275만 개의 일자리를 추가했으며, 5월에는 27만 2천 개의 일자리가 늘었다.


실업률은 30개월 동안 4% 이하를 유지해왔다. 이는 베트남 전쟁과 한국 전쟁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경제 전문가들이 경기 침체를 예측했지만, 이들이 틀렸다고 해서 ‘리세션’이 오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다.


실업률은 낮게 유지되지만, 4월 3.9%에서 5월에는 4%로 올라갔다. 지난해 4월에는 3.4%까지 떨어졌었다.


기업의 고용 속도는 7년 전 수준으로 떨어졌다. 팬데믹 기간 동안 급증했던 일자리 공고는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구인 공가가 더 낮아진다면 실업률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경제가 산을 오르는 등반가와 같다면, “때로는 그 능선이 매우 넓어서 주요 사건이 경제를 능선에서 밀어내지 못할 때가 있다”고 레드핀(Redfin) 부동산 중개업체의 글렌 켈먼(Glenn Kelman) CEO는 말했다. 지금은 “그 능선이 훨씬 좁아진 것 같다”고 덧붙였다.


2년 전 연방준비제도(Fed)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수십 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금리를 인상했다. 당시 기업들은 근로자를 확보하기 위해 대규모 임금 인상과 보너스를 제공했고, 물가는 급등했다.


투자자, 경제학자, 일부 연준 관계자들은 공급과 수요를 균형 있게 유지하려면 실업률이 더 높아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기업들이 근로자를 해고하지는 않지만, 높은 금리가 장기간 지속되면 이익이 감소하고 해고 압력이 커질 것이다.


연준 관계자들은 다음 주에 열리는 이틀간의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예정이다. 지난해 연준은 기준 금리를 5.25%에서 5.5%로 인상해 200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캐나다와 유럽의 중앙은행은 지난 주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했지만, 미국의 경제 성장은 더 강했다.


연준은 금리를 너무 빨리 인하해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위험과 금리를 너무 높게 유지해 불필요한 경기 둔화를 초래할 위험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 하고 있다.


# 경제의 회복력과 앞으로의 전망


4년 전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침체와 그에 따른 공격적인 정책 대응이 미국 경제의 회복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팬데믹 초기의 급격한 경기 침체 이후 지난 2년 동안 노동력은 크게 확장되었다. 이러한 확장은 주식과 주택과 같은 자산 가격의 상승과도 맞물렸다.


민간 부문의 재무 상황이 비정상적으로 강한 상태에서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했다. 많은 가계와 기업은 2020년과 2021년에 초저금리로 대출을 받아 이후 금리 인상의 영향을 덜 받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이후 가계는 지출을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자산과 소득이 더 큰 역할을 했으며, 팬데믹으로 인해 변화한 소비 습관과 더불어 높은 자산 가격, 안정적인 일자리 전망, 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더 많은 가계의 경제적 여유를 느끼게 했다.


# 주택 시장의 이상 현상


팬데믹 시대의 이상 현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미국의 주택 시장이다. 높은 금리는 수요에만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라 공급도 둔화시켰다.


많은 주택 소유자들이 모기지 대출이 없거나 저금리 대출을 보유하고 있어 이동을 꺼리고 있다. 최근 평균 30년 모기지 금리는 7%에 가까웠으며, 이는 3년 전과 비교해 크게 오른 것이다. 하지만 현재 미국의 모기지 평균 금리는 4.1%로 3년 전의 3.9%와 큰 차이가 없다.


주택 건설업체들은 중고 주택 시장의 매물 부족 덕분에 혜택을 보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달 동안 신규 주택 재고가 증가해 10년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이는 약세의 신호일 수 있다. 높은 금리는 또한 건설업체들이 재고를 보유하는 비용을 증가시킨다.


# 소비자들의 자신감과 지출


소비자 조사를 통해 보면, 팬데믹 이전보다 자신감이 떨어졌지만, 소비 습관은 여전히 강하다. 가계 순자산 대비 소득 비율은 팬데믹 이전 어느 때보다도 높았다.


콜롬비아 스레드니들의 이자율 전략가인 에드 알 후세이니는 “사람들이 자신감이 높아져 소득과 순자산에서 얻은 추가적인 달러를 더 많이 지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은 훨씬 느린 성장을 보이고 있다.


# 정부의 지출과 인프라 투자


연준의 금리 인상이 주택 및 제조업 분야의 고용을 위협했을 때, 새로운 정부의 인프라 및 반도체와 자동차 배터리 공장에 대한 지출이 그 역할을 대신했다. 작년에는 이민의 증가가 고용을 촉진하고 지출을 지탱하며 임금 압박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 경제의 위험 요소


저소득 소비자들은 팬데믹 시기의 저축을 소진하고 신용 카드 대출에 의존하고 있다. 이들은 상환을 늦추고 있으며, 할인 소매업체들은 수요가 약해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경제는 또한 높은 금리에 대비하지 못한 부문들로부터 위험에 직면해 있다. 중소기업과 은행을 포함한 상업 부동산 시장의 투자자들은 연준이 빠르게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고 단기 금리를 인하하지 않으면 큰 손실을 인식할 가능성이 있다.


타이탄 스틸의 사장인 빌 허튼은 “풀 가동”이 이제는 물리적 설비가 아닌 적절한 노동자를 확보하는 것으로 측정된다고 말했다.


# 앞으로의 경제 전망


연준은 금리를 너무 빨리 인하해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위험과 금리를 너무 높게 유지해 불필요한 경기 둔화를 초래할 위험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 하고 있다.


수백억 달러의 회사채와 대출이 앞으로 몇 년간 만기가 도래할 예정이다. 하지만 금리가 곧 내려갈 것이라고 생각하는 기업들은 재융자를 미루고 있다. 이로 인해 금리가 경제 활동을 둔화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 상업 부동산 시장


상업 부동산 시장도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하이브리드 근무로 인해 사무실 시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파트 부문의 많은 부채가 만기를 맞아 재융자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소유자들은 부채를 상환해야 하는 부담을 겪고 있다.


카멜던 부동산 신탁의 CEO인 릭 캄포는 “금리가 두 배로 오르면 상황이 어렵다”고 말했다.


앞으로 연준은 금리를 인하하기 전에 인플레이션과 고용 데이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중소기업들이 이미 인수되었으며, 이들은 부실 채무 거래에 능숙해 “경제가 일종의 중간 단계에 있는 것 같다”고 말하고 있다.


출처: 블록미디어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검색

전체 731 건 10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최근글
Statistical Chart
  • 오늘 방문자 2,945 명
  • 어제 방문자 4,859 명
  • 최대 방문자 4,859 명
  • 전체 방문자 297,063 명